나노입자 기반 유도줄기세포(iPSC) 재프로그래밍 기술
나노입자를 활용한 유도줄기세포(iPSC) 생성 기술은 줄기세포 의학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개선하며, 정밀의학의 핵심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1. 유도줄기세포 기술의 한계와 나노기술이 필요한 이유 유도만능줄기세포, 흔히 iPSC라고 불리는 기술은 우리가 한때 배아줄기세포에 기대던 윤리적 논쟁을 넘어설 수 있는 대안으로 등장했습니다. 성인의 체세포, 예컨대 피부세포나 혈액세포에서 특정 전사인자만 다시 발현시키면, 그 세포가 마치 초기 배아 상태처럼 되돌아가는 이 기술은 처음 등장했을 때 생명과학계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습니다. 그야말로 세포의 운명을 되돌릴 수 있다는 점에서 과학이 거의 ‘시간을 거스른다’는 느낌을 줄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그 아름다운 이론 뒤에는 현실적인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유전자 전달 방식입니다. iPSC를 만들기 위해서는 야마나카因자로 불리는 Oct4, Sox2, Klf4, c-Myc 같은 전사인자들을 세포 안으로 집어넣어야 하는데, 이를 주로 바이러스를 통해 전달하게 되면 외부 유전자가 세포의 유전체에 삽입되면서 돌연변이나 암 발생의 위험을 동반하게 됩니다. 비바이러스성 방법으로는 리포솜, 전기천공법, 세포 융합법 등이 있으나, 효율이 낮거나 세포 생존율이 떨어지는 등의 한계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자연스럽게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달 매개체’가 필요하다고 느꼈고, 여기에서 나노입자 기반 기술의 가능성을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나노입자는 크기가 수십 나노미터로 세포막을 침투하기 쉬우며, 그 표면을 다양한 분자로 기능화하여 목표 세포에 정확히 도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전사인자를 담은 나노입자는 세포 안으로 진입한 뒤 핵으로 유입되고, 필요한 전사인자만을 일시적으로 작동시켜 재프로그래밍을 유도합니다. 이는 바이러스처럼 유전자에 삽입되지 않아 게놈 안정성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나노기술은 고도로 정제된 제어가 가능합니다. 특정 pH나 효소 조건에서만 활...